해당 포스트는 THLIFE.NET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개인적으로 기억하기 쉽게 재정리한 내용입니다.

  • Pascal Case
    • 각 단어의 첫번째 글자는 대문자로 작성한다.
    • 주로 클래스명 작성 시 사용되고, 열거형·열거값·이벤트·인터페이스 등에 사용된다.
    • ex) HelloWorld, EmpInfo
  • Camel Case
    • 파일명이나 변수명이 가운데 대문자를 사용하여 낙타의 등과 같은 표기법이라 하여 Camel Case 라 불린다.
    • 주로 매개변수, 메소드 등에 사용된다.
    • ex)setName, totalSum
  • Hungarian Notation
    • 헝가리의 프로그래머가 처음으로 쓰던 변수 명명법으로 이제는 프로그램 코딩 시 표준적인 관례가 된 표기방식이다.
    • Pascal Case 유형 앞에 변수의 타입 약어를 표기하여 사용한다.
    • 주로 변수 작성 시 사용된다.
    • ex) sName[String Name], iAge [Integer Age]
  • Uppercase
    • 모든 문자를 대문자료 표기하여 작성하며, 단어와 단어 사이는 "_" 구분자를 이용하여 단어를 구분한다.
    • 주로 2글자 정도의 단어, 상수 등에 사용한다.
    • ex)System.IO, MAX_VALUE

'Story > 개발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확장자에 따른 Content Type  (0) 2009.11.22
Posted by 갈가마귀